조선의 중앙관청 조직도
조직명 |
별호 |
담당업무 |
창설연도 |
수장 |
기로소(耆老所) |
기사(耆社),기소(耆所),완소(翫所) |
특별한 임무는 없고, 70세 이상인 2품이 상인 문신을 예우 |
태조13년 |
도제조(정1품) |
종친부(宗親府) |
종부(宗府) |
종실 제군 관청 |
태조3년 |
군 |
의정부(議政府) |
군당(郡堂),황각(黃閣),군평의사사(郡評議使司),암랑(巖廊),묘당(廟堂),정부(政府) |
모든 관원을 다스리고, 서정을 고르게 하며, 음양을 다스리고 나라를 경영 |
정종2년 |
영의정(정1품) |
충훈부(忠勳府) |
맹부(盟府),운대(雲臺), 공신도감(功臣都鑑) |
여러 공신을 관리하는 관청 |
태조대 |
군 |
의빈부(儀賓府) |
부마소(駙馬所) |
공주나 옹주에게 장가 든 사람의 관청 |
국초 |
위 |
돈영부(敦寧府) |
국왕의 친족과 외척의 관청 |
태종14년 |
영사(정1품) | |
비변사(備邊司) |
주사(籌司),묘당(廟堂),비국(備局) |
군국 기무를 총괄 |
명종대 |
조제조(정1품) |
중추부(中樞府) |
서추(西樞),홍추(鴻樞),중추원(中樞院) |
직무가 없는 문·무 당상관에게 녹봉을 지급하기 위해 배속하는 관청 |
태조원년 |
영사(정1품) |
선혜청(宣惠廳) |
혜국(惠局) |
대동미 등의 출납 관리 |
선조41년 |
도제조(정1품) |
준천사(濬川司) |
도선 내 개천의 준설 |
영조16년 |
도제조(정1품) | |
주교사(舟橋司) |
주교 가설 및 조운 |
정조14년 |
도제조(정1품) | |
의정부(議政府) |
순군만호부(巡軍萬戶府),의용(義勇),왕부(王府),금오(金吾) |
왕명을 받들어 죄인을 추국 |
태종14년 |
판사(종1품) |
이조(吏曹) |
천관(天官),동전(東銓), 전리(典理),문부(文部),
선부(選部) |
문신이나 종친의 인사, 고과등 |
태조원년 |
판서(정2품) |
호조(戶曹) |
지관(地官),지부(地部), 창부(倉部),민부(民部),
도지(度支),판도(版圖) |
호구 조세 등 경제 관련 업무 |
태조원년 |
판서(정2품) |
예조(禮曹) |
춘궁(春宮),남궁(南宮),
의조(儀曹),예부(禮部),
예의사(禮儀司) |
의례, 외교, 과거 등 |
태조원년 |
판서(정2품) |
병조(兵曹) |
하관(夏官),병관(兵官),
서전(西銓),기생(騎省),
군부(軍簿),총부(摠部) |
무반 인사, 무기, 궁궐 경비 등 군사관련 업무 |
태조원년 |
판서(정2품) |
형조(刑曹) |
추관(秋官),추조(秋曹),
좌이방부(左理方府),우이방부(右理方府),전법(典法),형관(刑官),언부(얼府),이부(理部) |
법률 및 범죄 심의, 노비에 관한 업무 |
태조원년 |
판서(정2품) |
공조(工曹) |
동관(冬官),수부(水府),
예작부(例作府),수예 (修例),공관(工官),공전(工典),수조(水曹) |
건설 및 영선, 장인의 관리 등 |
태조원년 |
판서(정2품) |
한성부(漢城府) |
경조(京兆) |
수도의 행정 및 치안, 전국의 토지관리 등 |
태조3년 |
판윤(정2품) |
수원부(水原府) |
화성(華城) |
수원을 다스림 |
정조17년 |
|
광주부(廣州府) |
남한산성을 다스림 |
정조19년 |
유수(정2품) | |
개성부(開城府) |
송도(松都), 유후사(留後司) |
개성을 다스림 |
국초 |
유수(정2품) |
강화부(江華府) |
강도(江都),심도(沁都) |
강화를 다스림 |
인조5년 |
유수(종2품) |
규장각(奎章閣) |
내각(內閣), 금문원(擒文院) |
국왕의 친필 및 초상화, 각종 서적 등을 관리 |
종조직위 (1777) |
유수(종2품)
제학(종2품) |
교서관(校書館) |
운각(芸閣),내서(內書),비서(秘書),전교(典校),외각(外閣) |
서적의 인쇄 등을 담당 |
태조원년 |
판교(정3품) |
사헌부(司憲府) |
백부(柏府),상대(霜臺),오대(烏臺), 감찰사(監察司) |
관리들의 비리 규찰 등 |
태조원년 |
대사헌(종2품) |
오위도(五衛都) |
오위의 군사 업무 |
세조12년 |
||
총부(摠部) |
도총관의 수는 5인으로 문관(文官)·음관(蔭官)·무관(武官)이 겸함 |
오위의 입직(入直)· 행순(行巡)을 감독, 지휘 |
세조12 |
도총관(정2품) - 훗날 직책은 없고 벼슬만 남음. |
충익부(忠翊府) |
원종공신의 관부(충훈부에 쳐짐) |
국초 |
||
승정원(承政院) |
은대(銀臺),후원(喉院) |
왕명의 출납 |
태조원년 |
도사(종5품) |
장예원(掌隸院) |
노비변정도감(奴婢辨定都監),형조도감(刑曹都監) |
노비 문서 및 소송(형조에 합쳐짐) |
태조년 |
도승지(정3품) |
사간원(司諫院) |
미원(薇院) |
간쟁 및 논핵 |
태종2년 |
판결사(정3품) |
경연청(經筵廳) |
분사(分司),하전(厦氈) |
국왕의 강독 등 |
중종35년 |
대사간(정3품) |
홍문관(弘文館) |
옥당(玉堂),옥서(玉署),영각(瀛閣), 서서원(瑞書院),청연각(淸燕閣), 문원(文垣) |
서적 관리, 문한 등 |
성종9년 |
참찬관(정3품)
부제학(정3품) |
예문관(藝文館) |
원봉생(元鳳省),사림원(詞林院), 문한서(文翰署), 한림원(翰林院),문원(文苑) |
국왕의 사령을 지음 |
태조원년 |
직제학(정3품) |
시강원(侍講院) |
첨사부(詹事府),징원당(澄源堂),춘방(春坊),뇌사(雷肆),갑관(甲觀) |
세자 교육 |
태조원년 |
찬선(정3품) |
익위사(翊衛司) |
솔경사(率更寺), 계방(桂坊) |
세자를 모시고 호위함 |
태조원년 |
좌우익위사 (정5품) |
강서원(講書院) |
세손 교육 |
우서(정3품이상) | ||
형종사(衡從司) |
세손 호위 |
좌우장사(종6품) | ||
성균관(成均館) |
태학(太學),국학(國學),국자(國子) |
유생 교육 |
태조7년 |
대사성(정3품) |
상서원(尙瑞院) |
지인방(知印房), 정방(政房),차자방(箚子房),부보랑(符寶郞) |
옥쇄, 부절 등의 관리 |
태조원년 |
정(정3품) |
춘추관(春秋館) |
사관(史官) |
역사 기록물의 작성 및 보관 |
태조원년 |
수찬관(정3품) |
승문원(承文院) |
괴원(槐阮) |
사대 교린 문서 작성 |
태종10년 |
판교(정3품) |
통례원(通禮院) |
사범서(司範署),통례문(通禮門),합문(閤門),중문(中門), 홍려(鴻려) |
의식의 집행 |
태조원년 |
좌우통례 (정3품) |
봉상사(奉常寺) |
전사서(典祀署),태상사(太常寺), 전의사(典儀寺) |
제사 및 시호에 관한 의논 |
태조원년 |
정(정3품) |
종부사(宗簿寺) |
전중사(殿中寺),종정사(宗正寺) |
종실 족보 편찬 및 종실의 잘못을 규탄 |
태조원년 |
정(정3품) |
사옹원(司饔院) |
상식(尙食),주원(廚院),상식사(尙食司), 사선(司膳) |
궁중의 음식에 관한 업무 |
태조원년 |
정(정3품) |
내의원(內醫院) |
내국(內局),상약(尙藥),약방(藥房),약원(藥院),장의(掌醫),봉의(奉醫),상의(尙醫) |
국왕의 의약 |
태조원년 |
정(정3품) |
상의원(尙衣院) |
장복(掌服),중상(中尙),공조(供造),상방(尙房) |
국왕의 의복 및 궁궐의 재물, 보물 관리 |
태조원년 |
정(정3품) |
사복사(司僕寺) |
승부(乘府),사어(司馭),태복(太僕) |
탈 것 및 말 관리 |
태조원년 |
정(정3품) |
군기사(軍器寺) |
무고(武庫) |
무기제조 |
태조원년 |
정(정3품) |
사섬사(司贍寺) |
사섬고(司贍庫),공조서(供造署) |
저화 제조, 외거노비의 공포 등 |
태조원년 |
정(정3품) |
군자감(軍資監) |
물장생(物藏省),보천생(寶泉省), 소부감(小府監) |
군수물자의 비축 |
태조원년 |
정(정3품) |
장악원(掌樂院) |
성음서(聲音署),대악감(大樂監), 전악서(典樂署),아악서(雅樂署), 장중(掌中),이원(梨園) |
음악의 교육과 교열 |
세조4년 |
정(정3품) |
관상감(觀象監) |
서운관(書雲觀),운관(雲觀),누각전(漏刻典),태복감(太卜監),태사국(太史局), 사천대(司天臺),관후서(觀候署) |
천문, 지리, 측후 등 |
태조원년 |
정(정3품) |
전의감(典醫監) |
태의감(太醫監),사의서(司儀署) |
궁중에서 사용하는 의약 공급 및 왕이 하사하는 의약에 관한 업무 |
태조원년 |
정(정3품) |
사역원(司譯院) |
상원(象院),설원(舌院),역원(譯院),통문관(通文館),한문도감(漢文都監) |
외국어의 번역 및 통역 |
국초 |
정(정3품) |
선공감(繕工監) |
장작(將作) |
토목과 건축에 관한 업무 |
태조원년 |
|
훈련원(訓練院) |
군사 교육 |
정(정3품) | ||
선전관청(宣傳官廳) |
시위 및 왕명의 전달 등 |
도정(정3품) | ||
종학(宗學) |
종실의 교육 |
세종9년 |
선정관(정3품) | |
수성금(修城禁) |
궁성과 도성의 수축 및 궁궐들의 수리 |
국초 |
도선(정4품) | |
화사(火司) |
화재 진압 |
제검(정4품) | ||
풍저창(豊儲倉) |
궁중에서 사용하는 곡물 등의 관리 |
국초 |
||
광흥창(廣興倉) |
사녹관(司祿館),천녹관(天祿官),태창서(太倉署) |
백관의 녹봉 관리 |
수(정4품) | |
사수사(司需寺) |
비용사(備用司),요물고(料物庫), 공정고(供正庫) |
궁중의 쌀과 장의 공급을 담당 |
태조원년 |
수(정4품) |
사재감(司宰監) |
사진(司津),도진(都津) |
궁중의 생선, 고기, 소금, 연료 등을 공급 |
태조원년 |
첨정(종4품)
첨정(종4품) |
전함사(典艦司) |
사수감(司水監) |
전함과 선박에 관한 업무 |
태조원년 |
|
전연사(典涓司) |
궁궐의 수리와 청소 |
국초 |
제검(종4품) | |
내수사(內需司) |
요물고(料物庫) |
궁중의 쌀, 베, 잡물 및 노비 등에 관한 업무 |
국초 |
제검(종4품)
전수(정5품) |
소격서(昭格署) |
도교의식인 초제를 담당 |
국초 |
||
종묘서(宗廟署) |
태묘(太廟),침원(寢園) |
종묘의 수위를 담당 |
태조원년 |
영(종5품) |
사직서(社稷署) |
사직단의 관리를 담당 |
태조원년 |
영(종5품) | |
경모궁(景慕宮) |
경모궁의 수위를 담당 |
정조대 |
영(종5품) | |
제용감(濟用監) |
잡직서(雜織署) |
왕실에 진상하거나 왕이 하사하는 의복 등을 관장 |
태조원년 |
영(종5품)
판관(종5품) |
평시서(平市署) |
시전 단속, 도량형이나 물가에 관한 일 |
태종원년 |
영(종5품) | |
사온서(司醞署) |
궁중에서 쓰이는 술을 담당 |
태조원년 |
||
전생서(典牲暑) |
의식에 필요한 희생을 사육, 관리 |
국초 |
영(종5품) | |
오도(五都) |
중도(中都),동도(東都),
서도(西都),남도(南都), 북도(北都) |
한성에 설치된 행정구역의 관청, 소송, 도로, 방화, 택지 등 관리 |
국초 |
판관(종5품)
영(종5품) |
내자사(內資寺) |
대관(大官),선관(膳官) |
궁궐의 음식, 잔치, 직조 등 |
태조원년 |
|
내담사(內膽寺) |
덕천고(德泉庫) |
여러 궁, 2품이상의 관원, 왜인 등에게 주는 음식물 등을 담당 |
태조원년 |
주부(종6품)
주부(종6품) |
예빈사(禮賓寺) |
왜전(倭典), 영객사(領客舍),봉빈(奉賓),사빈(司賓) |
사신 접대 및 고관들에게 주는 음식물 관장 |
태조원년 |
주부(종6품) |
전설사(典設司) |
상사국(尙舍局),사설서(司設署), |
궁중에서 사용하는 장막을 관장 |
국초 |
|
의영고(義盈庫) |
궁중에서 사용하는 양념 등을 관장 |
태조원년 |
별제(종6품) | |
장흥고(長興庫) |
돗자리, 기름종이 등을 관장 |
태조원년 |
주부(종6품) | |
빙고(氷庫) |
동빙고(東氷庫),서빙고(西氷庫) |
얼음의 보관을 관장 |
태조원년 |
주부(종6품) |
장원서(掌苑署) |
내원서(內苑署) |
궁중 정원의 꽃과 과일나무를 관장 |
국초 |
별제(종6품) |
사포서(司圃署) |
궁중의 밭의 채소를 관장 |
국초 |
별제(종6품) | |
양현고(養賢庫) |
성균관 유생들에게 주는 곡물을 관장 |
태조원년 |
별제(종6품) | |
사축서(司畜署) |
전구서(典구署) |
가축 사육 |
태종원년 |
주부(종6품) |
조지서(造紙署) |
종이 제작 |
태종15년 |
별제(종6품) | |
혜민서(惠民署) |
혜민국(惠民局) |
의약 및 백성 치료 관장 |
태조원년 |
별제(종6품) |
도화서(圖畵署) |
채전(彩典) |
그림 그리는 일을 관장 |
태조원년 |
주부(종6품) |
전옥서(典獄署) |
대리(大理) |
감옥의 죄수에 관한 사무 관장 |
태조원년 |
겸교수(종6품) |
활인서(活人署) |
대비원(大悲院) |
도성의 병든 사람을 치료 |
태조원년 |
주부(종6품) |
와서(瓦署) |
와요(瓦窯), 도등국(陶燈局) |
대궐에서 사용하는 기와와 벽돌을 제조 |
태조원년 |
별제(종6품)
별제(종6품) |
귀후서(歸厚署) |
관곽색(棺槨色) |
관곽의 제조 및 구매 등 장례에 관한 업무 |
태조원년 |
별제(종6품) |
사학(四學) |
중학(中學),동학(東學), 남학(南學),서학(西學) |
관내 유생들에 대한 교육 |
태종11년 |
《대전회통》의 각 품계별로 정리된 아문의 순서로 정리하였다. 각 관청의 수장은 해당 아무의 품계에 해당하는 관직으로 정리하였다. 따라서 개별 아문에는 도제조 등의 겸직이 있을 수 있다. 종친부와 종시부는 개별의 기관으로 정리 하였다.
조선관리들의 직급 체제
조선 관리들의 녹봉 체계
조선 관리들의 년중 휴가일
조선 관리들의 하루 일과표
'국보·문화재·희규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십장생과 그 의미 (0) | 2018.06.30 |
---|---|
[스크랩] 조선의 맥박 - 양 주동 (0) | 2018.06.30 |
[스크랩] 조선.. 과거에 급제한 가문의 순위와 왕비를 배출 한 가문의 순위.. (0) | 2018.06.30 |
[스크랩] 한 국 의 설 화 (0) | 2018.06.30 |
[스크랩] 국보 1호- 50호 까지 (0) | 2018.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