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겔러리44 펠리체 바르니 설치작품과 함께2 . . 2024. 11. 12. 펠리체 바르니 설치작품과 함께 . . - 241107作 동대문DDP뮤지엄 2024. 11. 10. 모네외 - 빛을 그리다 展 2024. 11. 2. 뭉크의 절규 - 240328作 정선 동강 . . 2024. 3. 31. [스크랩] 珠玉같은 세미 클래식 演奏曲 모음 "Le Parc Monceau" -Claude Monet- 珠玉같은 세미 클래식 演奏曲 모음 01. Where Have All The Flowers Gone 02. And I Love You So 03. Stay A While 04. I Went To Your Wedding 05. Love Me With Your Heart 06. Just Walking In The Rain Water Lilies -Claude Monet- 07. Tie A Yellow Ribbon Round The Old Oak Tree 08. More Than I Can Say 09. Somewhere My Love 10. Green Green Gre.. 2019. 1. 16. [스크랩] 또 하나의 별 ... 곽재구 또 하나의 별 ... 곽재구 내가 이도백하의 다관(茶館)에서 중국차 한 잔을 마시는 동안 별 하나가 찻잔 안으로 들어왔다 추우냐? 답이 없구나 영하 이십도의 눈보라 별이란 족속은 추워야 더 빛을 뿌리는 법 혜산진에서 훈춘으로 가는 밤길에 와사등을 파는 가게가 하나 있었다 보라색 등 .. 2019. 1. 14. [스크랩] 강사랑 // 엄마엄마 우리엄마(영상包) 엄마엄마 우리엄마 / 강사랑원곡 - (동요)클레멘타인 엄마엄마 우리엄마 나 떠나면 울지마 뒷산에다 묻지말고 앞산에다 묻어주 눈이오면 쓸어주고 비가오면 덮어주 옛친구가 찾아오면 나본듯이 달래주 엄마 엄마 우리엄마 나떠나면 설어마 음지에다 묻지말고 양지에다 묻어주 봄이오면 .. 2018. 12. 3. [스크랩] 소망 / 김광섭 나무와 새 / 캔버스에 유채,1957/장욱진화백 * 소망 / 김광섭 비가 멎기를 기다려 바람이 자기를 기다려 해를 보는 거예요 푸른 하늘이 얼마나 넓은가는 시로써 재며 사는 거예요 밤에 뜨는 별은 바다 깊이를 아는 가슴으로 헤는 거예요 젊어서 크던 희망이 줄어서 착실하게 작은 소망이 되.. 2018. 12. 2. [스크랩] 외로운 섬은 /허윤정 외로운 섬은 ... 허윤정 겨울 준비가 거의 끝났다 한해의 잎 새들 최후의 그 이별 식도 그제께 첫눈으로 그 예식을 치르고 벗은 나무 가지에 첫 눈이 소복하다 천지는 백치다 아침마다 오던 새들도 아무런 기척이 없다 아무도 오지 않는 오지의 섬 혼자 떠있네 그날 그 강가 아무르 강변의 .. 2018. 11. 30. [스크랩] 珠玉같은 세미 클래식 演奏曲 모음 "Le Parc Monceau" -Claude Monet- 珠玉같은 세미 클래식 演奏曲 모음 01. Where Have All The Flowers Gone 02. And I Love You So 03. Stay A While 04. I Went To Your Wedding 05. Love Me With Your Heart 06. Just Walking In The Rain Water Lilies -Claude Monet- 07. Tie A Yellow Ribbon Round The Old Oak Tree 08. More Than I Can Say 09. Somewhere My Love 10. Green Green Gre.. 2018. 11. 5. [스크랩] 가을 나그네 ... 허윤정 비밀 ... 허윤정 내 안의 그대여 억만년 전부터 그대는 원시림의 한 포자로 내게 와서 그대 나에게 비밀로 살고 있다 그 누구도 찾을 수 없고 느낄 수도 흔들 수도 없는 그대 그대는 내 안에서 물푸레나무 그림자로 살고 있다 가을 나그네 ... 허윤정 노을은 먼 그리움 이국의 슬픈 노스탈지.. 2018. 10. 14. [스크랩] 역사이야기/ 리더의 철학 한비자에 대하여 ▲ 한비자(韓非子) ... ♣ 한비자(韓非子)에 대하여 ♣ 한비자(韓非子)는 중국 전국시대때 사상가이지요 한비자라는 이름은 그의 저서『한비자(韓非子)』에서 비롯되었어요 난세 중의 난세였던 춘추전국시대의 치세 철학이 담긴 한비자는 '제왕학의 교과서"로 일컬어지는 책이지요 한비.. 2018. 10. 5.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