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LR(Digital Single Lens Reflex)카메라에서 크롭바디 전용의 렌즈는 풀프레임 바디에는 사용할 수가 없다. 물론 마운트가 같기에 장착은 되지만 촬영하면 주변부 네귀퉁이가 시커멓게 된다. 이런 이유는 크롭바디 전용 렌즈의 이미지서클이 풀프레임 바디의 촬상소자 크기를 커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럼 이미지서클은 무엇인지 알아두자.
렌즈를 통한 빛은 초점면에 상을 맺게 되는데 이 때의 상은 둥근 원의 형태가 된다. 이 원안에 촬상소자나 필름이 놓이게 되어 감광 되는 것이다.
바로 이원의 크기 즉, 직경을 이미지서클이라고 한다. 렌즈에 따라서는 이원이 필름이나 촬상소자의 크기 보다 약간 큰 경우도 있고 제법 큰 경우도 있다.
이미지서클안에 맺은 상은 중앙 부분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화질이 떨어진다. 이러한 이유는 렌즈의 표면이 구면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가장자리로 갈수록 여러가지 수차도 많이 발생하고 왜곡도 심하며 특히 광량저하도 발생하는데 이러한 이유로 특별히 렌즈이 이미지서클에서 중앙부만 사용하는 렌즈도 있긴 하지만 이렇게 되면 렌즈의 부피와 무게가 커지고 생산비용도 증가하기에 한계가 있다.
렌즈의 부피를 크게 하지 않고 이런 것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중 하나가 비구면(Aspherical)렌즈인데 과거엔 숙련된 장인이 수공으로 렌즈를 가공하였기에 렌즈를 구면으로 밖에 가공할 수가 없었던 것이 렌즈의 가공에 컴퓨터를 이용하고 난뒤부터 비구면 렌즈도 만들어지고 있다. 물론 비구면 렌즈를 사용하는 이유가 주변부 광량저하 때문만은 아니고 또한 현실적으로 비구면 렌즈로도 주변부 광량저하를 모두 해결할 수는 없다.
그런데 크롭바디 전용의 렌즈는 생산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이미지서크을 크롭바디를 겨우 커버할 정도로 만들어져 있기에 렌즈의 이미지서클이 촬상소자보다 작아서 아예 주변부가 시커멓거나, 이미지섵클이 너무 타이트하여 이미지서클 주변부의 광량저하가 발생하여 사진의 네 귀퉁이가 어두워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아뭏든 이러한 이유로 풀프레임 바디용 렌즈는 크롭바디에 사용할 수가 있지만 크롭바디용 렌즈는 풀프레임바디에 사용할 수가 없는 것이다.
간혹 초광각 렌즈에서 이미지서클을 설계상 더 크게 하기 어려울 때도 있는데 이 때도 주변부 광량저하가 발생하기에 가운데만 가려주고 주변부에 빛을 더 통과시키는 센터필터를 사용하기도 한다. 35mm 포맷에서는 핫셀블라드 X-Pan에서 35mm 렌즈가 그렇고 중형필름을 사용하는 파노라마 카메라나 대형의 시트필름을 사용하는 카메라용 광각렌즈에서는 센터필터를 사용하는 경우가 흔히 있다. 이 모두가 렌즈의 이미지서클이 커지 않기 때문이다.
한가지 더 알아 두어야 할 것은 풀프레임 바디용 렌즈를 크롭바디에 사용하였을 때 화각이 줄어드는 것은 렌즈를 통하여 초점면에 맺히는 상은 변화가 없는데 단지 노광되는 촬상소자인 CCD나 CMOS의 크기가 다진 작아지게에 렌즈를 통하여 들어오는 빛이 모두 전달되지 않는 것이다. 그러하기에 렌즈의 특성은 전혀 변하지 않고 단지 화각만 줄어드는 것으로 이것은 풀프레임 바디로 촬영된 상을 주변부를 약간 잘라낸 것, 즉 크롭(트리밍)과 같은 것이다.
예를 들면 풀프레임 바디에 사용이 가능한 표준렌즈인 50mm 렌즈를 1.5배 크롭바디에 사용하면 화각은 75mm의 렌즈를 사용한 것과 같지만 그것은 단지 화각만 줄어 들었고 렌즈의 특성은 75mm 준망원렌즈를 사용한 효과 즉, 원근감을 표준렌즈보다 더 줄여주는 망원렌즈의 겹치기효과 같은 것은 없는 표준렌즈의 특성 그대로이다.
<<초점거리가 표준렌즈보다 긴렌즈를 장초점렌즈라고도 하는데 중형카메라까지는 망원렌즈와 혼용하여 사용하여도 큰 문제가 없으나 대형카메라에서는 구분하여야 하는데 여기서 그것까지 이야기까지 하면 초보자에게는 너무 어려운 이야기가 될 수도 있기에 언급하지 않겠다. 단 대형카메라를 사용하려는 사람은 반드시 이해하여야 렌즈를 선택하는데 수월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분들이 있는 것 같은데 잘 알아두자.
*****그림을 그려서 설명하면 더욱 쉽게 이해할 수가 있고, 전문용어로 설명하면 간단한 것을 초보자가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려니 말이 많아지는 것 같아서 아쉽다. 하지만 이점은 반드시 이해하고 넘어가야할 부분이다*****
'카메라&렌즈·장비·현상·액자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대형카메라 관련 사이트 정보 (0) | 2018.06.22 |
---|---|
[스크랩] 파노라마 촬영을 위한 카메라 종류와 특징 (0) | 2018.06.22 |
[스크랩] 카메라의 종류 - 셔터의 종류에 따른 분류 (0) | 2018.06.22 |
[스크랩] 카메라의 종류 - 포맷에 따른 분류 (0) | 2018.06.22 |
[스크랩] DSLR스페셜] DSLR 렌즈의 모든 것 (0) | 2018.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