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라&렌즈·장비·현상·액자정보

[스크랩] DSLR스페셜] DSLR 렌즈의 모든 것

동아스포츠 / 相 和 2018. 6. 22. 17:47

카메라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을 꼽으라면 CCD와 함께 가장 많이 언급되는 것이 바로 렌즈입니다. 렌즈는 사람의 눈처럼 외부 사물을 읽어 들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사진의 화질에 막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렌즈가 하는 일은 피사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집광하여 CCD로 보내는 것입니다. 모든 사물에서는 사람의 눈에 인식 가능한 빛인 가시광선이 발산되는데 이것을 CCD에서 확실하게 인식하기 위해서는 분산되어 있는 빛을 렌즈를 이용하여 모아주어야 합니다.

렌즈는 다양한 렌즈 유리가 조합될 수 있고 모양이나 재료 선택범위도 광범위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세상에는 수많은 렌즈가 존재합니다. 렌즈의 종류를 구분할 때 가장 많이 쓰이는 기준은 초점거리입니다. 초점거리는 무한대에 초점이 맞은 상태에서 렌즈의 중심부터 초점면까지 거리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35mm, 50mm, 105mm와 같이 mm 단위로 사용합니다. 흔히 사람의 시각과 가장 흡사하게 보이는 50mm 렌즈를 표준 렌즈라고 하며, 상대적으로 50mm 보다 짧은 초점거리를 가진 렌즈를 광각 렌즈, 긴 초점거리를 가진 렌즈를 망원 렌즈라고 부릅니다.
초점거리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이미지의 크기와 화각 외에 피사계 심도가 있습니다. 피사계 심도는 촬영한 이미지에서 초점이 정확하게 맞는 범위를 의미합니다. 하나의 사진에서 전체적으로 초점 잡힌 경우 피사계 심도가 깊다고 하며, 특정 부위를 제외한 영역이 흐리게 나올수록 피사계 심도가 얕다고 표현합니다. 피사계 심도는 렌즈와 피사체와의 거리, 조리개 개방 정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표준 렌즈

50mm 전후의 초점거리를 갖는 표준 렌즈(standard lens)는 사람의 시각과 가장 근접하게 사물을 볼 수 있습니다. 뷰 파인더로 보이는 배율, 화각(육안의 화각이 약 50˚, 표준렌즈의 화각은 약 47˚), 원근감 등 우리가 평소에 보게 되는 시각과 거의 비슷하게 사물을 보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진표현에서 기본적으로 채택되는, 가장 보편적이고 활용도가 높은 렌즈입니다. 요즘은 50mm의 단렌즈 외에도 50mm를 중심으로 초점거리가 형성되어 있는 줌 렌즈가 기본 표준 렌즈로 많이 채택됩니다.

광각 렌즈

35mm 필름 카메라의 기준으로 50mm 전후의 초점거리가 표준 렌즈의 영역인데 보통 28mm이하로 초점거리가 짧아지는 렌즈를 광각렌즈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표준렌즈에 비해 초점거리가 짧은 단(短)초점 렌즈이므로 그만큼 상이 촬상 소자로 들어오는 경로에 제약이 줄어들어 화각이 넓습니다. 망원 렌즈가 피사체를 확대하고 얕은 심도의 아웃포커싱을 연출하는 특징이 있다면 광각 렌즈로는 넓은 화각으로 시원한 원근감을 연출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넓은 범위의 풍경 사진에 광각 렌즈가 잘 어울립니다.

망원 렌즈

망원 렌즈는  멀리 있는 피사체를 가까이 당겨 촬영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35mm 필름 카메라의 기준으로 초점거리가 85mm 이상인 렌즈를 망원 렌즈라고 합니다. 표준렌즈에 비해 초점거리가 긴 렌즈이므로 넓은 화각과 깊은 피사계 심도가 특징인 광각렌즈와는 정반대 현상이 나타납니다. 더 크게 확대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지만 그만큼 화각은 좁아지지요. 원근감이 압축되어 거리 표현이 잘 나타나지 않게 되고 피사계 심도가 얕아져 인물이나 꽃 촬영과 같이 주제가 부각되는 촬영에 주로 이용합니다.

 

 

접사(Macro) 렌즈

SLR 카메라는 매크로 렌즈를 장착하여 접사 촬영할 수 있습니다. 매크로 렌즈는 가까운 거리에서 초점을 맞출 경우 선명도를 떨어뜨리는 수차들을 방지하기 위해 광학적으로 설계되어 일반 렌즈보다 선명도에서 훨씬 뛰어난 이미지를 보여줍니다. 일반적으로 50mm, 100mm, 200mm의 단초점 렌즈로 되어 있지만, 28 ~ 85mm나 70 ~ 150mm와 같은 줌 렌즈도 매크로 렌즈의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이 있습니다. 초점거리가 긴 렌즈는 피사체와의 거리가 떨어져 있어도 같은 배율의 촬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통 곤충 사진과 같이 가까이에 서 촬영하기 어려운 피사체를 촬영할 때 사용됩니다.

어안렌즈

어안렌즈는 화각이180° 이상인 렌즈를 말합니다. 굉장히 넓은 범위의 화각을 소화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초 광각 계열의 렌즈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어안렌즈는 1924년 처음 생산되었는데 하늘 전체를 담을 수 있다는 뜻의 '힐 스카이 렌즈(Hill sky lens)'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여기에 유래하여 어안렌즈를 일명 스카이 렌즈라고도 부릅니다. 이 렌즈는 좌, 우 양 옆으로 펼쳐진 풍경까지 평면에 담아내기 때문에 상당한 왜곡이 생기며 이 왜곡을 적당히 활용하면 평소 육안으로는 볼 수 없었던 재미난 구도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습니다. 어안렌즈는 크게 원형으로 사진이 찍히는 '원상 어안 렌즈'와 대각선 방향으로 180°의 화각 내의 장면을 담는 '대각선 어안 렌즈'의 두 종류로 나뉩니다.

소프트 포커스 렌즈

소프트 포커스 렌즈는 해상력을 높인 보통의 렌즈와는 달리 구면 수차 또는 색수차를 보정하지 않고 오히려 이를 이용하여 하이라이트 부분을 번지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렌즈는 환상적이고 부드러운 묘사가 가능하여 인물사진에 사용하면 얼굴의 잡티나 흉터 등을 없애는 효과를 냅니다. 각 제조사에서 생산되는 소프트 포커스 렌즈의 초점거리가 85mm, 100mm, 135mm인 것으로 볼 때에도 이 렌즈가 인물 사진용 렌즈임을 알 수 있습니다. 소프트 포커스 렌즈를 다른 말로 연초점 렌즈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요즘에는 색재현에 지장을 주는 색수차는 억제하고 구면 수차만으로 소프트 효과를 얻고 있습니다.

 

 

 

반사 망원 렌즈

반사 망원 렌즈는 SLR카메라에 사용되는 초 망원계 렌즈(초점거리 500mm이상)에 쓰이는 방식으로 오목거울의 집광성을 이용한 반사광학계 렌즈와 일반 렌즈를 결합하여 만든 렌즈입니다. 광학적인 구조는 렌즈 중앙에 오목거울이 위치한 형태로, 렌즈를 통해 들어온 빛을 오목거울이 앞쪽으로 반사시키면 앞쪽에 있는 작은 오목거울이 다시 촬상 소자로 반사시켜 초점을 맺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구조의 반사 망원 렌즈는 색수차가 발생하지 않으며 초점거리에 비해 렌즈의 길이를 짧게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반사 망원 렌즈의 중앙부에는 오목거울이 있기 때문에 이 영향으로 사진의 아웃 포커싱 된 부분에서는 하이라이트 부분에 둥근 고리모양의 링이 생기는 독특한 효과가 있습니다.

시프트 렌즈

시프트는 위치를 보정해 준다는 의미로 피사체를 화면의 일정 위치에 놓이도록 조정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SLR 카메라에 사용하는 시프트 렌즈는 일반 렌즈와 달리 좌우 평행 이동장치가 내장되어 있어 경통을 좌우 또는 상하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경통이 움직이기 때문에 수직, 수평이 맞지 않는 피사체를 보정해주며 원근감을 과장시키거나 축소시킬 수 있어 주로 건축사진이나 인테리어용으로 사용됩니다. 틸트 기능이 내장된 렌즈의 경우 조리개를 이용하지 않고 심도 조절이 가능한데, 특정 부위에만 초점을 맞추고 그 외의 범위에는 초점이 흐리게 촬영할 수 있어 인물 사진이나 접사 촬영에 이용되기도 합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시프트 렌즈들은 광축이 움직인다는 특유의 기능 때문에 AF지원이 어려워 MF방식을 채택합니다.

 


 

 

 

L

경통에 한 개의 붉은 라인을 갖고 있는 캐논 EF 렌즈를 대표하는 초고성능 렌즈에 붙여집니다. L은 Luxury를 의미합니다. 펜탁스나 시그마, 탐론, 소니 등에서도 스타(★), EX, SP, G와 같은 고급 브랜드를 두고 있습니다.

USM(Ultrasonic Motor, 초음파 모터)

AF의 구동 모터로서 초음파 모터 USM(Ultrasonic Motor)를 탑재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USM은 뛰어난 기동성, 정지성을 갖추고 이상적인 고속, 고정밀도 AF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USM은 최신 기술을 바탕으로 초음파 진동에너지의 모터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조용하고 빠릅니다. USM을 채용하고 있는 렌즈는 거의 소음이 없고, AF가 빠르고 정밀합니다.

IS (Image Stabilizer, 흔들림 방지)

망원 렌즈에서는 손떨림 현상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좋은 렌즈를 사용한다 해도 카메라 흔들림은 어쩔 수 없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된 것이 손떨림 보정 기능입니다. 캐논은 IS(Image Stabilizer) 렌즈를 개발하였고, 손으로 들고 촬영할 때 셔터 스피드의 범위가 최대 2스텝까지 증가되므로 슬로우 셔터 촬영이나 망원 렌즈 촬영 시 유리합니다. 이와 같은 손떨림 보정 기능은 니콘(VR, Vibration Reduction), 시그마(O.I.S, Optical Image Stabilizer) 등 다른 브랜드 제품에도 도입되어 있습니다.

 

 

 

D.O(Diffractive Optics) 렌즈

빛은 장애물의 구석을 통과할 때, 장애물의 뒤편으로 도는 성질이 있는데, 이를 "회절"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 회절 현상을 이용해 빛이 진행될 방향을 변화시킨 렌즈가 "회절 광학 소자"입니다. 이러한 원리를 SLR 카메라의 렌즈에 응용하면 "초소형, 초경량, 고화질"의 특성을 끌어낼 수 있습니다. 캐논은 독창적인 D.O렌즈를 완성했는데, 색수차를 보정할 수 있고, 비구면 렌즈와 같은 광학 특성을 얻을 수 있어 구면 수차도 양호하게 보정합니다. 특히 특정한 광학적 결함이 발생하기 쉬운 슈퍼 망원 렌즈 설계 시 효과적이며, 일반 렌즈보다 선명하고 깨끗한 윤곽을 볼 수 있습니다. 렌즈 경통의 초록 라인은 캐논이 처음으로 형석 렌즈를 채용한 렌즈에서 보인 것으로 DO 렌즈를 상징하는 것입니다.

ED(Extra-low Dispersion)

'초저분산 렌즈' 라는 의미로 망원에서 발생하는 색수차를 줄이기 위해 빛의 파장이 적게 분산되는 특성을 가진 특수 유리를 가공하여 만든 렌즈에 붙는 호칭입니다. 보통 초저분산 렌즈용으로 사용되는 가장 이상적인 재질은 형석이라는 광물질입니다. 하지만 형석은 천연 광물로 구하기가 쉽지 않고 가공 또한 어렵습니다. 때문에 현재는 형석의 광학적 특성을 모방한 인공 형석으로 ED 렌즈를 제조하며 보통 망원렌즈 중 1 ~ 4매 정도를 삽입합니다. 다른 제조사에서는 같은 의미를 나타내는 용어로 AD(Anomalous Dispersion, 미놀타), UD(Ultra-low Dispersion, 캐논), LD(Low Dispersion, 탐론), SD(Super-low Dispersion, 토키나), ULD(Ultra Low Dispersion, 미미야) 등을 사용합니다.

Micro

니콘은 접사 촬영 시 사용하는 매크로 렌즈에 마이크로 렌즈라는 독자적인 상호명을 붙여 발표하고 있습니다. 니콘 105mm F2.8 Micro 렌즈는  특유릐 선명한 해상력과 선명한 발색으로 유저들로부터 많은 호평을 받은 제품입니다.

 

 

 

Limited

펜탁스 렌즈 모델명에서 Limited(리미티드)라는 단어는 고급형 렌즈에 붙이는 호칭으로 Star(★) 렌즈 다음으로 높은 가격대를 형성합니다. 리미티드 렌즈군은 뛰어난 색감과 함께 금속 재질의 고급스런 외관을 자랑하며, 흔히 '손맛'이라고 표현하는 수동 렌즈 같은 조작감을 제공합니다. 초점거리가 31mm, 43mm, 77mm 등 일반적인 초점거리와 약간씩 다른 것도 리미티드 렌즈군의 대표적인 특징입니다.

ASP(Aspherical, 비구면 렌즈)

ASP란 단어는 비구면(非球面) 렌즈를 뜻하는 Aspherical을 줄여서 표기한 단어입니다. 따라서 모델명에 ASP라는 문구가 들어가 있으면 비구면 렌즈를 채택하여 구면 수차를 보정한 렌즈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24mm F1.8 EX DG ASP와 같은 초광각 계열 렌즈는 광각 특유의 왜곡 현상이 나타나는데, 비구면 렌즈를 채택함으로써 왜곡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APO

특수 저분산 유리를 채택하여 색수차를 보정했다는 의미입니다. 색수차는 프리즘처럼 빛이 여러색으로 번지는 현상으로 망원 렌즈에서 특히 강하게 나타나 화질을 악화 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APO 렌즈는SLD(SpecialLow Dispersion) 유리, ELD(Extraordinary Low Dispersion) 렌즈를 적절하게 배치해서 수차를 보정한 것입니다.



 

백마(캐논 EF 100mm F2.8 macro USM)

왕자님들이 타고다닌다는 백마? '100mm' 초점거리를 지원하는 '매크로(마크로라고 부르기도 합니다)'렌즈를 지칭하는 백마는 이름과는 달리 시커먼 숯검댕이 외관을 자랑합니다. 초음파 모터인 USM을 탑재해 다른 매크로 렌즈와 달리 별도 Limit 스위치의 도움없이도 빠른 포커싱 속도를 자랑하는 모델이기도 합니다. 백마라는 명칭 때문에 요즘 웬만한 매크로 렌즈는 브랜드를 불문하고 대부분 초점거리 뒤에 '마'자를 붙여 부르기도 합니다. '60마', '50마' 등'마'로 끝나는 애칭은 매크로 렌즈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빠릅니다.

백통

흰 백(白)자를 써서 흰색 경통을 사용한 렌즈를 통칭하는 단어입니다. 펜탁스에도 있고 미놀타 렌즈에도 흰색 경통 렌즈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누가 옆에서 '백통'이라고 하면 이내 캐논 렌즈들이 생각나는 이유는 그만큼 캐논의 렌즈들이 다양하고 짜임새 있는 제품군을 구성하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한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캐논에는 아빠, 엄마, 애기가 한가족을 이룬 백통 가족이 있다는 것입니다. 70-200mm를 지원하는 백통 L렌즈가 미묘한 사양차이로 모델명이 나뉘어 각각을 구분하기 위해 붙여진 이름입니다.

흑통(캐논 EF 80-200mm F2.8L)

고급 렌즈군에는 요즘 백통이 소위 말하는 '대세'입니다. 하지만 일찍이 백통 신화가 있기 전 백통과 비슷한 망원 화각대로 망원계를 평정하다 1995년 단종되며 전설로 남은 렌즈가 있습니다. 날카로운 선예도와 강한 색감이라는 카리스마를 지닌 이 렌즈를 후세 유저들은 '흑통'이란 이름을 붙이며 지금도 중고 장터에서 귀하게 모시고 있습니다.

아빠백통(캐논 EF 70-200mm F2.8L IS USM)
사양도 가장 높아 믿음직스러워서인지 유저들 사이에서 '아빠'로 통하는 렌즈입니다. 70-200mm를 지원하는 초점거리에 초음파 모터와 손떨림 방지 기능이 탑재돼 망원촬영에서 탁월한 안정성과 신속함을 제공합니다.

엄마백통(캐논 EF 70-200mm F2.8L USM)

아빠백통에서 손떨림 보정기능이 제외된 모델이 엄마백통이라고 불립니다. 기능이 빠졌지만, 어떻게 보면 그만큼 가격이 알뜰해진 점이 '엄마'라는 이미지와 잘 맞는 것 같습니다.

애기백통(캐논 EF 70-200mm F4L USM)

애기백통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아빠나 엄마백통에 비해 크기가 한층 아담합니다. 크기가 작아진만큼 렌즈 구경도 좁아져 최대 조리개 개방수치는 F4.0으로 다소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가격이 100만 원대 안쪽으로 L렌즈 중에서는 저렴한 편이며, 선예도도 뛰어나 일반인들도 욕심낼 만한 가격대 성능비를 갖추고 있습니다.

횽아백통(캐논 EF 70-200mm F4L IS USM)

캐논 EOS 400D와 함께 발표된 70-200mm F4L IS USM 렌즈는 애기백통과 같은 제원에 손떨림 보정 기능이 탑재된 특징을 갖추었습니다. 가장 늦게 태어난 늦둥이지만 애기백통보다 사양이 한 수 위라 '횽아'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대포(캐논 EF 200mm F1.8L USM)

굵고 길게 뻗은 망원 렌즈의 위용은 흡사 대포를 연상케 합니다. 캐논에서는 200mm F1.8 렌즈가 대포라는 별명을 갖고 있습니다. 200mm라는 망원 단렌즈로서, 조리개 구경이 최대 F1.8까지 개방되기 때문에 이름 그대로 뒷배경을 대포로 날려 버린 것과 같은 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만두 (캐논 EF 85mm F1.2L USM / 캐논 EF 50mm F1.0L USM)
이 렌즈를 다른 각도에서 보면 마운트 부분이 약간 잘록하게 들어간 것이 눈에 띕니다. 마운트 접합부분을 위로가게 하고 세워놓으면 영락없는 왕만두 모양입니다. 이러한 디자인은 캐논 캐논 EF 85mm F1.2L USM와 캐논 EF 50mm F1.0L USM 에서만 볼 수 있습니다. 두 렌즈의 특징은 초점거리에 비해 조리개 최대 개방치가 엄청나게 크다는 점입니다. 85mm F1.2는 인물촬영에 알맞는 프레임과 얕은 심도를 제공하고, 특히 50mm F1.0은 조리개가 렌즈의 실구경 수치까지 개방돼 '이보다 밝을 수 없는' 경지에 이르고 있습니다. 소위 말하는 '레어 아이템'입니다.

애기만두(캐논 EF 85mm F1.8 USM)

애기만두는 만두와 같은 85mm 초점거리를 지원하는 85mm F1.8 렌즈입니다. 비록 빨간띠를 두르고 있지 않지만 만두 못지 않은 훌륭한 사양과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해 인물촬영 등에 애용되는 렌즈입니다.

L렌즈 삼총사 (캐논 EF 16-35mm F2.8L / 캐논 EF 24-70mm F2.8L / 캐논 EF 70-200mm F2.8L(IS))

L렌즈 삼총사라 불리우는 세가지 렌즈 집합이 있습니다. 광각 / 표준 / 망원으로 분류되는 화각에 걸맞는 초점거리를 지원하는 렌즈들의 모임입니다. 붉은 띠를 두른 16-35mm(광각), 24-70mm(표준), 70-200mm(망원)렌즈를 모두 구비했을 때, "삼총사 다 모았다."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이 말은 일반적인 출사 주제를 모두 소화할 수 있는 16mm 초광각부터 200mm 망원영역을 F2.8이라는 밝은 조리개 수치로 커버할 수 있는 제반을 갖추었다는 것을 뜻합니다.

헝그리 L렌즈 삼총사 (캐논 EF 17-40mm F4L / 캐논 EF 28-70mm F2.8L / 캐논 EF 70-200mm F4L)

비교적 저렴한 가격대로 구비할 수 있는 L렌즈 삼총사를 뜻합니다. 앞서 설명한 L렌즈 삼총사보다는 값이 싸 '헝그리'라는 타이틀이 붙긴했지만 그래도 L렌즈인지라 모두 구비하는데에는 약 260만원이상 소요됩니다. 헝그리 삼총사는 조리개 최대 구경이 F4인 17-40mm, 애기백통과 함께 단종된 28-70mm F2.8을 중고장터에서 구해 구성합니다. 가격이 저렴하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지만 선예도가 우수하다고 알려진 17-40mm과 애기백통의 화질을 선호해 일부러 헝그리를 구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쩜팔(캐논 EF 50mm F1.8)

표준렌즈인 50mm 단렌즈 중 조리개 최대 개방수치가 F1.8인 모델을 가리킵니다. F1.8을 지원하는 렌즈라면 대부분 '**mm 쩜팔'이라고 줄여 부르기도 하지만 그냥 '쩜팔'이라고 부를 때는 보통 50mm 단렌즈를 의미합니다. 50mm F1.8은 10만 원대 가격으로 조리개가 밝은 표준 단렌즈 중 가장 저렴하게 구할 수 있는 제품입니다.

쩜사(캐논 EF 50mm F1.4 USM)

F1.4렌즈를 쩜팔과 같은 개념으로 부르는 이름입니다. 캐논 50mm F1.4는 쩜팔렌즈와 달리 USM 기능이 추가됐습니다. 조용하고 빠른 속도로 초점을 잡을 수 있지만 가격이 약 40만 원대로 쩜팔렌즈와 상당한 격차를 보입니다.

아빠번들(AF-S DX Zoom Nikkor 18-70mm F3.5-4.5G ED IF)
니콘에서 D70과 함께 발표해 번들 킷으로 꾸며졌던 렌즈입니다. 광각에서 준망원까지 넓은 화각 범위를 제공하며, 초음파 모터와 거리계 창, ED 렌즈까지 탑재하는 등 당시 번들급으로 나온 타 브랜드의 기본렌즈들보다 월등한 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단품 출시 가격도 40만 원대에 육박해 번들급으로 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지만, 지금도 많은 니콘 유저들이 기본 표준 렌즈로 애용하는 모델입니다.

애기번들(AF-S DX Zoom Nikkor 18-55mm F3.5-5.6G ED)
D50과 함께 발표된 번들렌즈입니다. 아빠번들과 달리 플라스틱 재질 마감과 간단한 구조로 매우 현실적이고 경제적인 번들렌즈 본연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초음파 모터를 탑재하고 있어 여전히 타 브랜드의 번들렌즈와는 차별을 두고 있습니다.

회통

캐논에 백통이 있다면 니콘에는 회통이 유명합니다. 근래에 애기번들이 D50 실버바디에 맞춰 실버색상으로 출시되긴 했지만 기존 회통과는 제조 목적이 다르므로 논외로 합니다. 회통이란 이름은 백통에 비해 경통이 약간 회색톤에 가까워 얻은 것입니다. 백통이나 회통은 주로 망원렌즈에 많이 채택됩니다. 그 이유는 렌즈내 공간이 많은 망원렌즈의 경우 경통을 흰색 계열로 채색하면 사막 등지와 같은 고온이나 일교차가 심한 환경에서 경통내부의 급격한 온도변화를 완화시켜 렌즈를 보호한다고 합니다.

부르르(VR, Vibration Reduction)

렌즈는 아니지만 니콘 렌즈에 들어가는 광학식 손떨림 보정 기능인 VR(Vibration Reduction)기능을 재미있게 부르는 말입니다. 쉽게 기억할 수 있으면서 진동과 관련된 연상작용도 있는 재미있는 단어입니다.

105마(AF Nikkor 105mm F2.8 Micro)

캐논에는 백마, 니콘에는 백오마가 있습니다. AF 105mm F2.8 Micro 렌즈를 부르는 말입니다. 최근에는 초음파 모터와 손떨림 보정 기능을 사용해 포커싱이 더욱 빠르고 안정적인 AF-S 105mm F2.8 Micro VR 렌즈가 백오마의 명성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카페렌즈(AF Nikkor 35mm F2 D)

35mm F2 렌즈는 니콘 DSLR카메라에서 35mm 필름 규격 50mm에 근접한 화각(52.5mm)을 제공하며 밝기도 F2.0으로 밝습니다. 카페같이 어두운 실내환경에서 프레이밍이나 셔터스피드 확보에 유리하기 때문에 이러한 별명을 얻었습니다.

귀신(유령)렌즈(소니 AF 70-200mm F2.8 SSM)

소니 유저들에게 선망의 대상으로 꼽히는 렌즈입니다. 흰색 경통이며, 옛 미놀타 렌즈군중 초음파 모터 기술(SSM, Super Sonic wave Motor)이 들어간 몇 안되는 모델 중 하나로, 필카 시절 신속성과 정확성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AF성능으로 '귀신'이라는 명칭을 부여받았습니다.

팬케잌

특정 렌즈를 지칭하지는 않고, 레인지 파인더방식 카메라나 펜탁스 리미티드 렌즈 중 경통길이가 극단적으로 짧아 납작한 렌즈를 말합니다.

삼식이(시그마 30mm F1.4 EX DC HSM)

APC-C 사이즈 이미지 센서를 탑재한 DSLR 카메라에 최적의 표준화각을 제공하는 시그마의 30mm F1.4렌즈입니다. '시그마 30mm'를 함축해 '삼식이'라는 친근한 이름이 되었군요.

이빨치료(탐론 SP AF 28-75mm F2.8 XR Di LD Aspherical)

탐론의 SP AF28-75mm F2.8 XR Di LD Aspherical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캐논 L렌즈에 버금가는 해상력을 인정받아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특히 EOS 5D 출시 이후 표준 줌 렌즈로 인기가 급상승하고 있는 모델입니다.

출처 : 사진 찾아 여행을
글쓴이 : 자연인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