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 시와 산문의 차이점을 요약 설명]
[ 시와 산문의 차이점을 요약 설명]
1. 사고의 단위가 산문은 문장이고 시의 경우에는 행 line이다. (시에는 리듬감이 있다)
2. 산문은 객관적 정보 전달과 실용적 가치에 우선을 두지만 시는 심리적 반응을 요구한다.
3. 산문은 사고의 단위가 연대기적이며 시는 연상적 기법을 따른다.
4. 산문에는 리듬이 없지만 시는 리듬감을 가지고 있다.
5. 산문은 의미의 확산을 시는 압축을 생명으로 한다.
시에서 요구되는 형식에 대한 개념이 아직도 부족하다면 몇 가지 예를 더 들어 보겠습니다.
<예문 3> ① 지난 여름 폭우가 쓸고 지나간 산골짜기 계곡에
② 허옇게 뿌리를 드러낸 몇 그루 나무들이
③ 바람 속에서 실뿌리들이 필사적으로 흙을 찾아
④ 몸을 기대고 있다.
⑤ 검은 흙이 실뿌리의 손을 가만히 잡아주고 있다.
⑥ 위태롭지만 아, 따스한 저 손길!
①과 ②는 사태의 진술, ③과 ④는 사태에 대한 진술과 주관적 표현의 경계,
⑤는 사태에 대한 주관적 인식 표현, ⑥은 주관적 의지 표현
위의 시는 산사태로 절개된 산기슭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면서
실뿌리들과 흙이 닿아있는 그 순간을 경이롭게 바라본 시입니다.
이 시는 어려운 비유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자신이 이야기하고자하는 의도를 마지막 연에
귀착시키고 있으며 그 다음에 일어날 그 어떤 정보도 들려주지 않고 있습니다.
<예문 4> ① 그 여자가 걸어오고 있다.
② 머리에는 커다란 짐을 이고
③ 이쪽으로 이쪽으로
④ 천천히 천천히 아다지오로 천천히
⑤ 구월의 햇볕이
⑥ 그 여자를 짓누른다.
⑦ 그러나 그여자는 멈추지 않는다.
⑧ 이윽고 나를 지나친다.
⑨ 나는 뒤를 돌아본다.
⑩ 그 여자는 아직도 느린 걸음처럼 걷고 있다.
⑪ 나는 다시 뒤를 돌아본다.
⑫ 길게 나 있는 그 여자의 발자국
⑬ 다시 뒤를 돌아보는 짧은 순간
⑭ 그 여자의 머리에서 커다란 짐이 내려온다.
⑮ 그 여자가 사라진다.
⑮-1 그의 이름은 슬픔이다.
위의 시는 문장 끝에 구두점이 찍혀 있습니다.
독립적인 한 문장은 장면의 컷트 효과를 노리면서 움직임의 생생한 심상을 전달해 주고 있는 것입니다.
<예문4> 에서처럼 사실(동작)의 묘사가 주를 이루고 시인 자신의 주관적 표현은
⑭, ⑮, ⑮-1 에 국한되어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예문 5> ① 나무들이 울창한 생각 끝에 어두워진다
② 김 서린 거울을 닦듯 나는 손으로
③ 나뭇가지를 걷으며 나아간다
④ 깊이 들어갈수록 숲은 등을 내보이며
⑤ 멀어지기만 한다 저 너머에
⑥ 내가 길을 잃고서야 닿을 수 있는
⑦ 집이라도 한 채 숨어 있다는 말인가
⑧ 문 열면 바다로 통하는
⑨ 집을 저 숲은 품에 안고 성큼
⑩ 성큼 앞서 가는 것인가 마른 잎이
⑪ 힘 다한 바람을 슬며시
⑫ 내려놓는다 길 잃은 마음이
⑬ 숲에 들어 더 깊은 숲을 본다
이 시는 앞에 인용된 예문과는 달리 현상에 대한 묘사가 보다 주관적입니다.
객관적인 사물을 주관적인 관찰로 뒤집음으로서 비유의 깊이를 느끼게 하지 않습니까.
숲이 울창하다는 묘사를 "나무들이 울창한 생각을 하기 때문에 어두워진다"라고 진술한다든지,
바람이 불어 나뭇잎을 떨구는 모습을
"마른 잎이 힘 다한 바람을 슬며시 내려놓는다" 라고 표현한다든지 하는 것은
시만이 가질 수 있는 미학을 최대한 살리는 것이라고 보여지지는 않습니까
위의 시들을 통해서 시인들은 각자 행갈이의 기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또 시는 사실적 묘사와 주관적 묘사의 배합에 의해서 하나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며,
그 이미지는 연상의 법칙에 따라서 수행되는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